![]()
[스포티비뉴스=정철우 기자]두산이 주축 선수들의 부상 이탈에도 1위를 달릴 수 있는 원동력 중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외국인 투수들의 활약이다.
린드블럼과 후랭코프는 나란히 6승으로 팀 내 최다승을 기록하며 두산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2위가 부상중인 이용찬의 3승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활약이 어느 정도 힘을 U휘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리그 전체로도 최다승 1위를 달리고 있다.
특히 린드블럼은 기대 이상의 활약으로 에이스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평균 자책점은 3.22에 불과하고 이닝당 출루 허용률이 1.05로 대단히 좋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팬들은 그를 '린철순'(린드블럼+박철순)이라 부르며 에이스 대접을 하고 있다. 두산이 니퍼트와 계약을 포기하고 린드블럼을 선택한 결정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그가 '린동원'(린드블럼+최동원)으로 불리던 시절 보다 업그레이드가 됐다는 점이다. 트랙맨 데이터를 통해 본 두산 시절의 린드블럼은 분명 롯데 시절보다 한 단계 더 좋은 투수가 돼 있었다.
일단 가장 중요한 패스트볼의 구위가 좋아졌다.
먼저 익스텐션(투구 때 발판에서 공을 끌고 나와 던지는 손끝까지 거리)이 크게 향상됐다. 지난 해 롯데에서 가장 좋은 투구를 했던 9월과 비교해 봐도 확연히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있다.
롯데 시절 패스트볼 익스텐션은 1,69m였다. 하지만 두산 유니폼을 입은 뒤론 1.77m로 크게 앞당겨졌다. 타자들은 롯데 시절 린드블럼 보다 훨씬 앞으로 끌어와 던지는 린드블럼을 상대해야 한다. 그만큼 공을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었음을 뜻한다.
릴리스 포인트도 높아졌다. 1.90m였던 것이 1.96m까지 높아졌다. 타자들은 한결 높아진 린드블럼의 새로운 릴리스 포인트에 적응해야 하는 숙제가 생겼다.
상.하 무브먼트는 약간 줄어들었지만 좌.우 움직임은 훨씬 향상된 모습을 보여줬다. 오른쪽으로 약 5cm가량 더 휘어 들어가는 궤적을 보였다. 롯데 시절 데이터가 가장 좋았을 때의 수치라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페이스가 얼마나 좋은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볼끝의 힘을 좌우할 수 있는 패스트볼 회전력도 좋아졌다. 2365rpm이던 것이 2422rpm으로 향상됐다.
나머지 구종들도 각도가 좋아졌거나 회전수가 늘며 힘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피안타율이 1할3푼6리에 불과한 커브는 떨어지는 각도가 3cm 더 떨어지며 위력을 배가시켰다.
린드블럼은 시범경기 때만해도 최악의 투구로 염려를 산 바 있다. 하지만 당시에도 익스텐션이나 릴리스 포인트 등 투구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는 롯데 시절보다 향상된 성적을 보인 바 있다. 이미 준비된 에이스 모드였던 셈이다.
그러나 투구 매커니즘은 컨디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린드블럼이 꾸준히 자신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알고도 못 친다' 정우람 승부구의 치명적 매력▶ '5이닝 2실점' 두산 유희관, 퓨처스리그 첫 실전 어땠나▶ 휠러-서균의 폭풍 발전, 송진우의 '체인지업 레슨'▶ '수석 코치 교체' 넥센, 말 못할 속사정 따로 있나▶ 삼성 패배 속 위안 '구자욱 효과'